판소리의 종류는 송만재(1769-1847)의『관우희』나 정노식의『조선창극사』(조선일보출판부, 1940)의 문헌에는 19세기까지 12마당(판/바탕)이 기록되어 있으나 지금은 5마당만이 전해질 뿐이다.
현재 전해지고 있는 5마당의 내용을 간략하게 살펴보면,
<춘향가>는 가장 먼저 짜여진 판소리로 추정되며 ㉮춘향의 사랑 ㉯춘향의 이별 ㉰춘향의 시련 ㉱춘향의 재회 등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, 이름난 소리대목(눈대목)으로는 사랑가ㆍ이별가ㆍ기생점고ㆍ십장가등이 유명하다.
<심청가>는 효녀 심청의 이야기로 ㉮어린시절의 심청 ㉯처녀가 된 심청 ㉰황후가 된 심청의 세 부분으로,
<흥부가>는 박타령이라고도 하며, ㉮부자 놀보와 가난한 흥보 ㉯부자가 된 흥보 ㉰놀보의 패가망신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유명한 소리대목은 놀보심술ㆍ돈타령ㆍ흥보 매 맞는 대목ㆍ제비 날아드는 대목ㆍ박타령ㆍ화초장 타령 등으로 서민들의 삶을 주제로 한 희극적喜劇的이고 토속성土俗性이 짙은 작품으로 평가 받고 있다.
또한, <수궁가>는 토끼타령, 토별가, 별주부전이라고도 하며, 나라에 충성하는 것보다 개인의 삶이 더 중요하다는 자유의지가 주제로 설정되었으나, 동물을 의인화擬人化하여 인간상을 비판하고 충성심과 충효심을 강조하였고,
<적벽가>는 화룡도華容道라고도 하며, 나관중이 지은 중국소설『삼국지연희』가운데서 적벽대전 대목을 판소리로 재창조 한 것으로 중국의 역사적 인물을 주제로 하였다.
구분 곡수 |
관우희 |
조선창극사 |
현재 |
주제의식 |
1 |
장끼타령 |
장끼타령 |
× |
|
2 |
변강쇠타령 |
변강쇠타령 |
× |
|
3 |
왈자타령曰子打令 |
무숙武叔이타령 |
× |
|
4 |
배비장裵裨將타령 |
배비장타령 |
× |
|
5 |
심청가 |
심청가 |
심청가沈淸歌 |
효성 (부자유친父子有親) |
6 |
흥보가興甫歌 |
흥부가 |
흥부가興夫歌 |
우애 (장유유서長幼有序) |
7 |
토끼타령 |
토끼타령 |
수궁가水宮歌 |
충성심 (군신유의君臣有義) |
8 |
춘향전春香傳 |
춘향전 |
춘향가春香歌 |
정절 (부부유별夫婦有別) |
9 |
화용도華容道 |
화룡도 |
적벽가赤壁歌 |
의리 (붕우유신朋友有信) |
10 |
강릉매화타령 |
江陵梅花打令 |
× |
|
11 |
가짜신선神仙타령 |
숙영淑英낭자전 |
× |
|
12 |
옹고집타령 |
옹고집타령 |
× |